본문 바로가기

공부78

동물성 단백질 VS 식물성 단백질 동물성과 식물성 단백질 누가 우위인가  연구적으로는 동물성이 적은량으로도 MPS(근단백질합성)를 더 빠르고 크게 향상시켜주지만 이것도 콩단백질을 20-30% 더 섭취했을때 비슷하게 나타난다는 연구가 많습니다. MPS(근단백질합성)의 향상이 근섬유의 성장에 기여하기 때문에 기본적인 조건이긴 하지만 장기간의 연구를 추적하여 실제 근성장이 일어나는지 결과를 추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래서 장기간 식물성과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여 운동을 실시하는 RCT연구들에서는 두가지 모두 근성장근력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라는 결과가 매우 많습니다. 현장 관점에서는 식물성 단백질의 장점은 섬유소, 피토케미컬이 풍부하기 때문에 건강이점에서 좋습니다. 물론 동물성이 건강에 안좋냐를 이야기하는것보다 건강관점은 늘 한쪽으로 취중되.. 2024. 6. 5.
지중해식이 좋습니다, 하지만 비싸죠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65734 지중해식 식단, 모든 질병으로 인한 사망률 20% 낮춘다지중해식 식단을 구성하는 과일, 채소, 통곡물 등의 식재료. 게티이미지뱅크과일, 채소, 통곡물, 견과류 등으로 구성된 지중해 식단을 지속적으로섭취하는 것은 모든 질병에 의한 사망 위험을 20www.dongascience.com 지중해식이 좋다는건 잘 알려져 있지만, 낮은 소득계층의 사람들에게는 제한적이라는 의견도 있다.지중해식 식단의 건강증진 효과를 누구든지 활용하기 위해서는 매일 먹는 식품을 저렴하게 셋팅하면서 한국스럽게 대체할 수 있어야한다 백미밥을 단순 현미나 햇반으로 대체하는 것이 아니고 여러 곡물로 구성하여 양질의 밥을 만드는데 매번 신경을 쓰는 것도 방법.. 2024. 6. 5.
마지막편 : 이제는 근육과 관절의 접근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야합니다 (BPS 접근) 소크라테스식 교육 대화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심리적 접종은 환자가 자신의 건강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며, 치료사가 환자에게 무엇을 해야 하는지 ‘가르치는’ 것과 반대로, 환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예: 신체 활동 증가) 더 강력한 방법으로 간주된다.PNE외에도(또는, 함께) 물리치료사는 만성 통증 환자에게 BPS(biopsychosocial)모델의 측면을 교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려움 회피 모델(Leeuw et al., 2007b)은 두려움에 대한 회피를 교육하고 효과적인 (단계별 활동) 치료를 위한 경로를 여는데 사용할 수 있으며, 신체 활동과 관련하여 지속적인 행동(신체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활동을 계속하는 행동)을 보이는 환자는 자기 불일치의 기본 원리를 .. 2024. 5. 6.
4편 : 이제는 근육과 관절의 접근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야합니다 (BPS 접근) 2. 교육 교육은 임상에 있어 강력한 도구이다. 교육에는 특별한 내용이 요구되며 그 외에 특별한 기술도 필요하다, 물리치료사가 환자 교육을 제공할 때 취해야 할 주요 단계는 아래와 같다. (그림 3) 교육 내용을 살펴보면, 통증(신경)생리적인 교육(Pain Neurophysiology Education/PNE)은 다양한 만성 근골격계 통증 질환(예: 만성 요통, 만성 편타성 손상 장애, 섬유근통)에 대해 광범위하게 연구되어 왔으며, 이는 긍정적인 결과 얻을 수 있었다 (Louw et al., 2011). 이를 위해서는 유해수용성(nociceptive) 및 비유해수용성(non-nociceptive) 입력의 변경된 중추신경계 처리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PNE는 부적응적 인지와 질병 인식을 다루고.. 2024. 4. 5.
3편 : 이제는 근육과 관절의 접근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야합니다 (BPS 접근) 1.2. 만성 근골격계 통증 환자의 태도 및 신념 평가 앞에서 말한 만성 근골격계 통증에 대해 증거 기반 태도와 신념을 치료사가 갖게 되면 만성 근골격계 통증 환자를 검사하기 위한 표준 평가에 환자의 태도와 신념을 포함시킬 가능성이 높다. 이는 환자에게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치료사는 언급한 설문지 등을 사용하여 통증 인지를 평가할 것을 권장한다 예를 들어, 만성 요통 환자의 두려움 회피에 대한 신념을 평가할 때 (Fear-avoidance beliefs, one can use the Tampa Scale Kinesiophobia)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Örebro) 근골격계 통증 선별 설문지와 같은 광범위한 설문지는 급성통증에서 만성통증에 대한 심리사회적 예측 변수의 .. 2024. 4. 1.
2편 : 이제는 근육과 관절의 접근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야합니다 (BPS 접근) - 그렇다면, 위 표의 내용을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자. 1-1 만성 근골격계 통증 환자를 치료하는 치료사의 출발점인 자기 성찰(Self - Reflection) 이전 물리치료사들의 생물학적(Biomedical) 중심의 치료가 요통 환자의 장기 병가(Long Term sick leave) 위험 요인이라는 것이 입증되었고(Reme et al., 2009) 이는, 요통 환자를 치료하는 모든 물리치료사들의 반성이 필요한 부분이다. 특히,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물리치료사의 태도가 치료 권장 사항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Houben et al., 2005b) 만성 근골격계 통증 환자에 대한 치료사의 신념과 환자에게 제공되는 정보를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 표 첫번째에 나온 자기성찰(Self - Ref.. 2024. 3. 28.
1편 : 이제는 근육과 관절의 접근에서 한단계 더 나아가야합니다 (BPS 접근) 300회 이상 인용된 Jo nijs교수님의 아래 논문을 소개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집중력과 가독성을 위해 시리즈로 제작하도록 하겠습니다 :) Introducation 만성 근골격계 통증은 복잡하고 어려운 의학적 문제이다. 지난 수십년 동안 만성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과학적 이해가 대폭 향상됨에 따라 생물학적(Biomedical) 모델이 만성 근골격계 통증을 설명하고 치료하는데 부족하다는 것을 인정하게 되었다. 생물학적(Biomedical) 모델만으론 대부분의 만성 근골격계 통증 환자가 호소하는 임상 양상을 완전히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평가 및 치료에 대한 BPS(Biopsychosocial)접근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만성 근골격계 통증의 재활을 다루는 무작위 대조 논문을 살펴보면 자기 효능감, 우울증, 통.. 2024. 3. 28.
내회전 제한이 생기는 이유는 무엇이며, 어떻게 접근해야할까? 🤓🤓 안녕하세요 업에듀케이션입니다 내회전 제한(GIRD : Glenohumeral Internal Rotation Deficit)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이 있을까요? 그리고 내회전 제한이 있을 때 우리는 어떻게 접근해야할까요? 앤쿨스 선생님은 어깨와 관련된 수많은 연구와 임상을 겸비하신 분으로 전세계적으로 어깨 분야에서 인정받고 계신 분입니다 오는 4월, 앤쿨스 선생님의 어깨 온라인 과정이 열리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아래 링크를 통해! 정상가 : https://smartstore.naver.com/upeducation/products/9951885232 어깨의 모든것 by Ann Cools : 업에듀케이션 [업에듀케이션] 안녕하세요 업에듀케이션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정회원(.. 2024. 3. 26.
다친적이 없는데 어깨가 자주 빠지면서 불안하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업에듀케이션입니다 이번 영상은 어깨 불안정성 분류 중 하나인 외상으로 인한 어깨탈구, 방카르트 환자들이 가지는 임상적 특징에대한 영상입니다 앤쿨스 선생님은 어깨와 관련된 수많은 연구와 임상을 겸비하신 분으로 전세계적으로 어깨 분야에서 인정받고 계신 분입니다 오는 4월, 앤쿨스 선생님의 어깨 온라인 과정이 열리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정상가 : https://smartstore.naver.com/upeducation/products/9951885232 어깨의 모든것 by Ann Cools : 업에듀케이션 [업에듀케이션] 안녕하세요 업에듀케이션입니다. smartstore.naver.com 정회원(10% 할인) : https://smartstore.naver.com/upeducation/p.. 2024. 3. 22.